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전쟁

모신나강 저격용 소총 모신나강 저격용 소총​모신나강 소총은 19세기말 제정 러시아가 개발한 소총으로 우리 독립군이 블라디보스토크등에서 입수하여 독립전쟁의 주력 소총으로 거듭난다.​못다한 이야기는 유튜브에서 확인하면 좋을거 같아요~^^​https://youtube.com/shorts/RiEUPIJuZb0 더보기
스프링필드 1861 강선식 머스켓총 스프링필드 1861 강선식 머스켓총​스프링 필드 1861 강선식 머스켓총----​남북전쟁 당시 제식 소총이였다. 프랑스 미니엘 라이프를 참조하여 제작하였으며 신미양요 당시 미국의 주력 소총이였다. ​기본적으로 머스켓 (musket) 소총이라고 하는 종류의 총은, 총열에 강선(rifle)이 없는, 활강 총신(smoothbore barrel)을 가진 소총을 뜻합니다. 초기에는 주로 불붙인 화승(slow match)을 이용하여 발사하는 점화 방식을 가졌는데, 이를 영어로는 matchlock이라고 합니다. 나폴레옹 시대에 이르러서의 주된 점화 방식은 부싯돌을 이용하는 것이었고, 그래서 영어로는 flintlock이라고 불렀습니다.​못다한 이야기는 유튜브로 확인하면 좋을거 같아요~^^https://youtube.c.. 더보기
프랑스 뇌관식 권총 프랑스 뇌관식 권총프랑스에서 개발된 뇌관식 권총을 기초로 중국 등에서 복제 생산된 권총으로 초기 의병과 독립군도 다수 사용하였다. 머스켓 총의 길이를 줄여 제작한 것이다.---------------------------------------못다한 이야기는 유튜브에서 확인하면 좋을거 같아요~^^https://youtube.com/shorts/uzoM-QKySn0 더보기
마름쇠(철질려) 마름쇠(철질려)​마름쇠(철질려)​적이 오는 길목에 뿌려서 적의 진입을 방해하는 것이다. 기마나 보병의 진로를 방해하는 장애물로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다. 적이 오는 길목에 그대로 뿌리거나 또는 줄에 메달아 설치하였다.​고대부터 현대까지 사용 되고 있다. 현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에서는 드론으로 마름쇠를 뿌리고 지나가는 군용차량의 타이어에 손상을 입히고 정차하여 움직이지 못할때 기급공격을 가했다.---------------------​못다한 이야기는 유튜브에서 확인하면 좋을거 같아요~^^https://youtube.com/shorts/nO0RYARwXAU ​ 더보기
슈파긴 기관단총(따발총) 슈파긴 기관단총(따발총)​​구 소련의 PPSH-41 기관단총으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개발한 화기로 소련군의 베스트셀러 기관단총이다.일명 따발총이라고 불린다. 탄창 1개에 40~71발의 총알이 들어 있어 많은 전투에서는 탄창을 교환하지 않고도 전투를 치를 수 있다. 연속 반자동 사격이 불가능한 북한군의 주력소총 모신나강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일선 부대에서 대량으로 운용되었다.탄창에 넣는 총알의 띠 모양이 똬리와 닮았다고 해서 따발총이라는 별명을 붙였다는 말도 있다.------------------------------​못다한 이야기는 유튜브에서 확인하면 좋을거 같아요~^^https://youtube.com/shorts/g792xT3kiFE 더보기
영국 브렌 경기관총 영국 브렌 경기관총영국 브렌 경기관총​체코스롤바키아의 Vz 26/30 경기관총을 라이센스 생산하여 영국의 엔필드 조병창에서 생산했다.영연방군의 상당한 신뢰를 받은 무기로 2차세계대전, 북아프라카전장, 한국전, 포클랜드전장에서도 지속 사용 되었다.업드린자세에서 약가대르 사용하여 550m까지의 정확도를 보여 준다. 30발탄창은 보통27~28발을 장전하여 기관총의 걸림현상과 탄창 스프링 손상을 막았다.​https://youtube.com/shorts/cr7_ipwJD0Q ​ 더보기
모시나간트 소총(모신나강) & M1소총 모시나간트 소총(모신나강) & M1소총모시나간트 소총​구경 7.62mm로 최대 사거리 2km 유효 사거리 750미터.​5발을 내부 탄창에 장탄할 수 있다. 총신이 길고 총검까지 달면 173cm을 넘길 정도여서 휴대가 불편 하였지만 백병전을 벌일 경우에는 효과적이였다. 볼트 액션 소총으로 사겨의 정확도가 높아 많은 저격수들이 애용하였다.​1891년부터 1973년 까지 3700만 여정이 생산되 었고 훗날 단점이 보강한 변형 및 파생형 모시나간트 총이 등장 하였다.​못다한 이야기는 유튜브에서 확인하면 좋을거 같아요~^^​https://youtube.com/shorts/LdWQ0IOG6CM 더보기
s-2 트래커 해상 초계기 s-2 트래커 해상 초계기​미국 그러먼에서 개발한 쌍발 엔진의 중형 해상 초계기. 각종 센서를 이용해 적 수상함, 잠수함을 탐지하며 공격도 가능하다. 우리 군은 1970년 미국에서 도입해 공군 소속의 해상 초계기로 운용하였다. 1976년 해군이 인수하여 총 26대가 배치 되었고 특히 1998년 전남 여수 반잠수정 대침투작전에 크게 이여 했으며 2001년 퇴역 하였다.​정식명 S-2A - 는 미해군 항모용 신세대 대잠 공격기 구상에 따라 나온 첫 기종이다. 육상 기지의 대잠 초계기로서는 아무래도 초계영역 바깥에 있는 적을 파괴시키긴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 새로운 구상은 속도의 비중을 낮추는 대신 긴 항속거리와 다양한 무장을 감당해낼 수 있는 능력에 주안점을 두었다. ​주탐지 센서는 기체 하부에 장착한 an.. 더보기
M107 175mm 자주평사포 M107 175mm 자주평사포​미국에서 개발한 175mm 자주평사포이다. 대한민국 육군은 1971년 미국으로 부터 도입해 장거리 표적 타격 및 군단 화력 지원요으로 사용ㅎ다가 장비 노후로 2004년 퇴역하였다.​전장 11m, 포열길이: 11cm, 중량 28165kg,최대발사속도:1.5발/분, 지속발사속도0.5발/분 최대운행속도:55km/h​평사포란 포신이 올려지는 각도가 45도 미만으로(보통 20~25도) 탄도 곡선이 직사포 보다 높고 곡사포보다 낮고 긴 포신을 가지고 있어 포구 솓도가 빨라 포탕을 머리 보낼 수 있고 관통력이 우수하여원거리 표적을 공격랄 때 유리하다.​못다한 이야기는 유튜브에서 확인하면 좋을거 같아요~^^https://youtube.com/shorts/mWMAnDatC2g 더보기
현무-1 미사일 현무-1 미사일​대한민국에서 개발한 탄도미사일. 대한민국 첫 국산 단거리 지대지 탄도 미사일인 백곰을 개량하여 제작 되었다. 1986년 시험발사에 성공하여 이후 대한민국 육군에 실전 배체되었다. 미국의 나이키 허클리스 미사일과 외형이 비슷하지만 1단 추진체가 한개의 단일 기관이라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후속 기종의 개발 및 배치가 이뤄지면서 2018년 퇴역하였다.​사정거리 180km 중량 4850kg.​북쪽 하늘의 수호천사 라는 뜻을 지닌 현무 시스템은 미사일 포대의 지휘통제차량에서 사격통제되는 이동식 발사대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시스템이다.1990년 미국은 현무 1호의 해외 판매를 승인 보류 했고 이후 한국이 현무 시스템에 대한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사거리 180km를 초과하는 로켓을 개발하지 않기로 합의.. 더보기
k200 한국형 보병전투장갑차 k200 한국형 보병전투장갑차​k200 한국형 보병전투장갑차​최초 ‘한국형 KIFV(Korea Infantry Fighting Vehicle 한국형 보병전투장갑차) 개발 계획’으로 불렸으나 실제로는 탑승전투를 목적으로 하는 전투장갑차라기 보다는 병력수송용 장갑차로 분류된다.​대한민국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국산 1호 장갑차이다. 1984년부터 실전에 배치되었으며 k-21과 함께 우리군의 주력 장갑차로 운용되고 있다. k-21이 전방 기계화 보병사단에 배치된 후에도 후방 부대나 보병사단용으로 계속 운용되고 있다. k200 장갑차를 기본 모델로 한 다양한 개량형 장갑차가 개발되어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2000년부터 점진적으로 k200a1으로 개량되었다.​K200은 외형상 미군의 M113과 큰 차이가 없어.. 더보기

728x90
반응형